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 2024년 백화점 매출로 보는 부동산 입지 완벽 분석
전국 백화점 매출 순위를 보면 해당 지역의 소비력을 알 수 있으며, 매출이 높은 백화점이 입지 수준을 올려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자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정보입니다.
아래 표는 2024년 전국 백화점 매출을 표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3조가 넘는 백화점은 서울 서초구와 송파구에 있고, 매출 2조 아파트는 부산과 서울 중구(명동)에 있습니다.
매출 1조 대 아파트는 판교, 대구, 부산을 제외하면 강남과 여의도, 서울 종로 근방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역별 백화점 매출 순위와 부동산 입지
직접 정리해보겠습니다.
서울 백화점 매출 순위와 주요 부동산 입지
서울 백화점 중 2조 이상 매출 백화점을 빨간색, 1조에서 2조 사이의 매출을 기록한 백화점을 노란색, 그 외는 파란색으로 표시해 봤습니다.
주요 백화점은 일명 강남 3구에 5개가 몰려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여의도의 더현대 서울도 상당한 매출 규모와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으며, 중구의 롯데백화점 본점과 신세계 백화점 본점도 1조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서울은 일자리가 집중되어 있는 강남, 종로, 여의도에 주요 백화점까지 몰려있기 때문에 상권 측면에서도 상당히 좋은 입지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강남, 종로, 여의도와 이 세 곳으로 빠르게 갈 수 있는 지역의 입지가 대단하다는 것을 백화점으로도 알 수 있네요.
서울 내 백화점 순위를 아래 표로 정리해 봤습니다.
순위 | 백화점명 | 주소 | 2024년 매출 (억원) | 성장률 (%) |
1 | 신세계 백화점 강남점 | 서울 서초구 | 3조 2325 | 7.3 |
2 | 롯데 백화점 잠실점 | 서울 송파구 | 3조 471 | 10.5 |
4 | 롯데 백화점 본점 | 서울 중구 | 2조 534 | 2.3 |
7 | 현대 백화점 무역센터점 | 서울 강남구 | 1조 2665 | 0.4 |
8 | 현대 백화점 본점 | 서울 강남구 | 1조 2016 | 1.3 |
9 | 더현대 서울 | 서울 영등포구 | 1조 1994 | 6.2 |
10 | 신세계 백화점 본점 | 서울 중구 | 1조 1921 | 1.9 |
12 | 갤러리아 명품관 | 서울 강남구 | 1조 1725 | - |
18 | 신세계 백화점 타임스퀘어점 | 서울 영등포구 | 6138 | -5.4 |
19 | 현대 백화점 목동점 | 서울 양천구 | 6096 | - |
26 | 롯데 백화점 노원점 | 서울 노원구 | 4156 | -3.4 |
30 | 현대 백화점 천호점 | 서울 강동구 | 3897 | - |
35 | 롯데 백화점 김포공항점 | 서울 강서구 | 3469 | 6.4 |
36 | 롯데 백화점 영등포점 | 서울 영등포구 | 3382 | -4.9 |
38 | 현대 백화점 신촌점 | 서울 서대문구 | 3297 | -6.3 |
41 | 현대 백화점 미아점 | 서울 강북구 | 2692 | - |
43 | 롯데 백화점 청량리점 | 서울 동대문구 | 2647 | 0.8 |
47 | 롯데 백화점 강남점 | 서울 강남구 | 2466 | -6.4 |
48 | 현대 백화점 디큐브시티점 | 서울 구로구 | 2089 | -0.4 |
59 | 롯데 백화점 미아점 | 서울 강북구 | 1564 | -2.9 |
경기, 인천 백화점 매출 순위와 주요 부동산 입지
순위 | 백화점명 | 주소 | 2024년 매출 (억원) | 성장률 (%) |
5 | 현대 백화점 판교점 | 경기 성남시 분당구 | 1조 7314 | 3.9 |
15 | 롯데 백화점 인천점 | 인천 미추홀구 | 7691 | 4.8 |
16 | 신세계 백화점 경기점 | 경기 용인시 수지구 | 6406 | - |
21 | 갤러리아 광교점 | 경기 수원시 영통구 | 5256 | 12.9 |
22 | AK 플라자 수원점 | 경기 수원시 팔달구 | 4794 | -6.5 |
23 | 롯데 백화점 평촌점 | 경기 안양시 동안구 | 4575 | -0.6 |
24 | 현대 백화점 중동점 | 경기 부천시 원미구 | 4396 | -0.8 |
25 | 롯데 백화점 동탄점 | 경기 화성시 | 4228 | -2.1 |
27 | 현대 백화점 풍산점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 4073 | -4.9 |
28 | 신세계 백화점 의정부점 | 경기 의정부시 | 3921 | -2.4 |
31 | 롯데 백화점 수원점 | 경기 수원시 권선구 | 3806 | 2 |
33 | 현대 백화점 킨텍스점 | 경기 고양시 일산서구 | 3498 | -3.5 |
37 | AK 플라자 분당점 | 경기 성남시 분당구 | 3342 | -14.2 |
45 | 신세계 백화점 하남점 | 경기 하남시 | 2582 | -2 |
49 | NC 백화점 중동점 | 경기 부천시 원미구 | 2087 | -3.7 |
53 | 롯데 백화점 구리점 | 경기 구리시 | 1863 | -6 |
55 | 롯데 백화점 일산점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 1745 | -7.3 |
56 | 롯데 백화점 안산점 | 경기 안산시 단원구 | 1688 | -4.9 |
58 | 롯데 백화점 분당점 | 경기 성남시 분당구 | 1623 | -7.8 |
61 | AK 플라자 평택점 | 경기 평택시 | 1504 | -7.7 |
판교는 사실상 서울과 경기를 합쳐도 상급지인데, 백화점 매출도 엄청납니다. 서울 백화점들과 비교하니 상대적으로 경기와 인천의 백화점 매출이 낮아 보이네요.
그래도 꽤 큰 백화점들입니다. 특히 지방 도시들과 비교하면 상당히 큰 매출을 보이고 있는 곳들인데요.
인천의 롯데백화점 인천점은 주변 구월동 단지들과 가깝습니다. 백화점 주변은 술집 상권들도 많아서 오히려 적절한 거리에 위치한 것 같습니다.
인천에서 가장 선호되는 송도에는 백화점은 없지만, 현대아울렛과 엄청난 규모의 상권이 있기 때문에 롯데백화점이 더 좋은 상권이라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용인의 신세계 경기점도 매출이 높은데요. 아무래도 죽전에 있기 때문에 교통이 편리하다는 점이 큰 매출에 영향을 준 것 같습니다.
이밖에도 수도권에서 선호 입지인 광교, 동탄, 평촌, 하남 등에도 주요 백화점들이 많이 있네요.
부산, 대구, 경상권 백화점 매출 순위와 주요 부동산 입지
순위 | 백화점명 | 주소 | 2024년 매출 (억원) | 성장률 (%) |
3 | 신세계 백화점 센텀시티점 | 부산 해운대구 | 2조 619 | 4.9 |
6 | 신세계 백화점 대구점 | 대구 동구 | 1조 5460 | 5.15 |
11 | 롯데 백화점 부산본점 | 부산 부산진구 | 1조 1847 | -2 |
29 | 롯데 백화점 광복점 | 부산 중구 | 3918 | -3.1 |
34 | 롯데 백화점 창원점 | 경남 창원시 성산구 | 3488 | - |
44 | 롯데 백화점 울산점 | 울산 남구 | 2610 | -3.1 |
50 | 롯데 백화점 동래점 | 부산 동래구 | 2022 | - |
52 | 롯데 백화점 대구점 | 대구 중구 | 1885 | -9.4 |
54 | 신세계 백화점 김해점 | 경남 김해시 | 1851 | - |
57 | 롯데 백화점 포항점 | 경북 포항시 | 1641 | -5.7 |
60 | 신세계 백화점 마산점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 1528 | 3.9 |
서울, 수도권을 제외하면 가장 상권의 규모가 큰 권역이 부산, 대구, 경상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울 내에서도 상급지에만 위치한 매출 1조 이상 백화점이 부산에 2곳, 대구에 1곳이 있으며, 이 3곳을 제외하면 지방에 매출 1조 이상 백화점은 없습니다.
지방 매출 1위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은 해운대구에 있습니다. 센텀시티는 대구 내에서 상급지이며, 지하철 2호선도 연결되어 있어서 해운대나 주요 일자리인 부산진구 등으로 가기에도 편한 곳입니다. 실제로 이 동네에 가보면 고급스러운 느낌이 물씬 풍기더라고요.
롯데백화점 부산본점은 부산 최대의 상권인 서면에 위치해 있습니다. 서면은 규모도 크고 유동인구도 엄청난 곳이기 때문에 백화점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요 거주지는 근처에 없지만, 지하철 1호선과 2호선이 있기 때문에 두 지하철을 가지고 있는 거주지의 입지에 점수를 줄 수 있겠습니다.
신세계백화점 대구점은 동대구역에 위치해 있습니다. 동대구역에 엄청난 유동인구가 있다고 하는데요. 동대구역 근처에 신축 아파트들의 입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이 신세계 백화점인 것 같습니다.
신세계백화점 대구점은 수성구의 일명 범4만3이나 주요 거주지들과 가깝기 때문에 오히려 수성구 입지 상승에도 더 기여하는 백화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전, 충청권 백화점 매출 순위와 주요 부동산 입지
순위 | 백화점명 | 주소 | 2024년 매출 (억원) | 성장률 (%) |
13 | 신세계 아트&사이언스 | 대전 유성구 | 9510 | 2.4 |
17 | 갤러리아 타임월드점 | 대전 서구 | 6266 | -1.9 |
20 | 갤러리아 대전점 | 대전 서구 | 6072 | 1.4 |
32 | 현대 백화점 충청점 | 충북 청주시 흥덕구 | 3600 | -4.7 |
39 | 갤러리아 센터시티점 | 충남 천안시 서북구 | 3287 | -2.9 |
40 | 신세계 백화점 천안아산점 | 충남 천안시 서북구 | 3175 | -0.09 |
51 | 롯데 백화점 대전점 | 대전 서구 | 1975 | 3.2 |
대전 유성구의 신세계백화점의 매출이 거의 1조에 다다랐습니다. 이 정도의 성장세이면 내년이나 내후년쯤에는 1조 클럽으로 들어갈 수 있겠네요.
신세계백화점은 대전 최상급지인 도룡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도룡동에는 연구단지가 몰려있기 때문에 소득 수준이 높으며, 위치가 대전 중앙쯤에 있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은 백화점입니다. 무엇보다 새로 생겨서 대전 시민들이 선호하는 백화점입니다.
대전의 갤러리아 타임월드는 생긴 지 오래되긴 했지만, 전통적으로 가장 좋은 입지인 둔산동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근처에 일자리와 상권도 많고, 거주지도 많은 곳이라서 앞으로도 꾸준히 높은 매출을 기록할 수 있을 듯합니다.
청주의 유일한 백화점인데요. 현대백화점 근처에 상권도 클 뿐만 아니라 청주의 최대 일자리인 SK하이닉스도 위치한 곳이기 때문에 복대동이 가장 좋은 입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복대동 아파트가 점점 구축 아파트가 되어감에 따라 가경동과 테크노폴리스가 상급지로 올라서고 있는데요. 복대동과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신축아파트이고 택지지구라는 점으로 인해 최상급지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천안의 백화점 2곳을 살펴보겠습니다. 신세계백화점은 천안 전통의 상권인 동남구 신부동에 위치해 있습니다. 주요 일자리가 천안 서쪽과 아산에 몰려있고, 택지지구도 많이 생겼기 때문에 입지적으로는 많이 낮아진 동네라고 볼 수 있는데요. 그래도 신세계백화점과 그 근처는 여전히 천안에서 가장 큰 상권 중 하나입니다.
갤러리아백화점 천안센터시티점은 천안의 최상급지인 불당동에 있습니다. 불당동뿐만 아니라 아산 탕정 택지지구와도 가까워서 주변에 거주지가 상당히 많으며 소득 수준도 높습니다. 또한 천안아산역도 바로 옆에 있어서 접근성이 좋은 백화점입니다.
광주, 전라권 백화점 매출 순위와 주요 부동산 입지
순위 | 백화점명 | 주소 | 2024년 매출 (억원) | 성장률 (%) |
14 | 신세계 백화점 광주점 | 광주 서구 | 7912 | -2.1 |
42 | 롯데 백화점 전주점 | 전북 전주시 완산구 | 2674 | -3.2 |
46 | 롯데 백화점 광주점 | 광주 동구 | 2548 | -7.1 |
지방에서 상당히 큰 매출을 자랑하는 신세계백화점 광주점입니다. 서구에 위치해 있는데요. 바로 옆의 유스퀘어가 터미널과 함께 큰 상권을 자랑하고 있고, 교통도 편리한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따라서 위쪽 광천동의 단지들과 서구 단지들의 입지에 큰 영향을 주는 백화점입니다.
매출은 낮지만, 위치는 상당히 좋습니다. 위치에 비해 오래된 연식에 의해 매출이 낮은 것이라고 봐야 하는데요. 근처 동구의 신축 단지들도 많으며, 광주의 최상급지인 봉선동과 매우 가깝습니다. 부동산 입지 측면에서는 이 백화점이 봉선동에 큰 점수를 주고 있다고 보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전주의 유일한 백화점입니다. 전통적으로 좋은 입지인 서신동에 있습니다. 대부분 구축아파트인데, 인근 신축 아파트는 상당히 높은 가격을 보이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과 주변 상권이 해당 아파트들의 시세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백화점으로 부동산 입지를 분석해 봤는데요. 상권의 규모보다 상권의 질이 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부동산에 관심이 많다면 백화점, 주요 아울렛, 스타필드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에 부동산 글이 많습니다. 같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부동산 양극화, '똘똘한 한 채'가 정답일까요?
‘똘똘한 한 채’라는 스토리가 부동산을 많이 장악하고 있습니다. '똘똘한 한 채로 수요가 몰릴 것이다.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다.'라는 스토리는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고 있으며, 다음과
gooodthinss.com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갈아타기를 한 뒤 걱정될 때 가져야 할 마인드 (0) | 2025.03.26 |
---|---|
지방 부동산 대책 발표! 지역 건설경기 보완방안(25년 2월 19일) 내용과 영향력 완벽 분석 (1) | 2025.02.19 |
좋은 대출과 나쁜 대출을 구분하는 방법 2가지 (0) | 2025.02.08 |
부동산을 매도할지 보유할지 결정하는 4단계 절차 (0) | 2025.02.08 |
부동산 양극화, '똘똘한 한 채'가 정답일까요? (0) | 2025.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