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택구입부담지수4

주택구입부담지수로 보는 저평가 지역 찾기 | 2024년 3분기 기준 2024년 3분기 주택구입부담지수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주택을 구입할 때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갚는 것이 얼마나 부담스러운지 나타내는 지표 쉽게 말해 부동산 가격의 저평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자세한 뜻과 계산법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주택구입부담지수 쉽게 해석하는 방법, 찾는 사이트서울 부동산은 현재 비싼가요? 고평가인가요? 고평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주택구입부담지수입니다.주택구입부담지수=[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가구소득]*100=[(원리금상환액/DTgooodthinss.com 2024년 2분기 대비 변화위 사진과 같이 전국의 지수는 변화가 없습니다. 대출 금리도 똑같이 산정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24년 2분기와 2024년 3분기의 지수 .. 부동산 2025. 1. 4.
주택구입물량지수 뜻, 해석 방법 완벽 정리 주택구입물량지수는 한국주택금융공사 주택금융연구원에서 발표하는 지표입니다.의미를 간단하게 말하면 아래와 같습니다.중위소득이 구입할 수 있는 주택이 얼마나 많은가? 쉽고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주택구입물량지수 뜻K-HOI(코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 주택구입물량지수의 정확한 공식은 아래 사진과 같습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 해석 방법서울의 주택구입물량지수가 27.4라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자기 자본+대출로서울 전체 아파트 중 27.4%를 구입할 수 있다.즉, 지수가 높을수록 많이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지역의 아파트가 소득에 비해 저평가되었음을 말하는 것입니다.  주택구입물량지수 보는 사이트주택금융통계시스템 HUSTAT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주택금융통계시스템사이트의 테마통계 .. 부동산 2024. 12. 29.
주택구입부담지수로 보는 저평가 지역 찾기 | 2024년 2분기 기준 부동산 가격의 저평가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가 주택구입부담지수입니다. 주택을 구입할 때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을 갚은 게 얼마나 부담스러운지를 나타낸 지표 자세한 뜻과 계산 방법이 궁금하신 분은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와주세요! 주택구입부담지수 쉽게 해석하는 방법, 찾는 사이트서울 부동산은 현재 비싼가요? 고평가인가요? 고평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주택구입부담지수입니다.주택구입부담지수=[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가구소득]*100=[(원리금상환액/DTgooodthinss.com 현재 기준으로 2024년 2분기까지의 자료가 나와 있습니다.아래 지표와 비교하여 지역별로 저평가 여부를 따져보겠습니다.2004년 1분기부터의 평균전저점 (최저일 때의 수치)전고점 (최고일 때의 수치) 수도권서울은 평균.. 부동산 2024. 12. 26.
주택구입부담지수 쉽게 해석하는 방법, 찾는 사이트 서울 부동산은 현재 비싼가요? 고평가인가요? 고평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가 바로 주택구입부담지수입니다.주택구입부담지수=[대출상환가능소득/중간가구소득]*100=[(원리금상환액/DTI)/중간가구소득]*100 이렇게 보니 너무 어렵지요?핵심은 주택구입부담지수의 의미, 계산법 두 가지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 쉽게 알기주택을 구입할 때 대출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이죠.주택구입부담지수는 주택을 구입할 때 원리금을 갚는게 얼마나 부담스러운지 나타낸 지수입니다. 다시 말해 아래 세 가지로 이 지역의 주택이 비싼지 싼지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주택 가격소득금리여기서 주택 가격은 해당 지역의 주택 중 중간 가격입니다.소득은 해당 지역의 중간 소득이고, 금리는 LTV 47.9%, DTI 25.7.. 부동산 2024. 12. 9.